top of page

Interactive
Media Design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14주차

아장아장
기말 발표 준비

2024.06.10.

이번주 조별 피드백 정리

  1. 옐로우 배경 흰 텍스트 전부 없애기

  2. 로고랑 메인버튼들 잘 안 보인다.

  3. 부분부분은 깔끔하나, 전체적으로 잡아주는게 없다.

  4. 옐로우 사용 규칙을 정하기. (최소한으로 사용)

  5. 오늘의 집, 컬리 참고하기

  6. 애플 어워드 받은 어플 참고하기

  7. 라운딩 버튼 - 둔탁해보인다.

  8. 텍스트 부분의 노란색도 하이라이트나 다른 방식의 디자인 생각해보기

  9. 아장이 채팅창에도 노랑색 동그라미 안에 아장이 넣을 것 같다. (디테일)

1) 옐로우 배경 흰 텍스트 전부 없애기

yellow bg + black text

2) 상단바 로고 수정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1.53.23.png

3) 홈화면 옐로우 사용 최소화

home variable widget

4) 버튼 라운딩 값 100 > 15로 수정 (둔탁한 느낌 최소화)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1.57.56.png

5) 아장이 아이콘 배경 추가하기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2.01.13.png

기말 발표 ppt 제작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13주차

아장아장
프로토타입 제작

2024.05.27.

이번주 수업내용

  1. 로그인 화면 만들기
    사용하기 전 기능을 보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화면을 제작해야함
    에러 페이지 제작하기 (로그인 실패, 서버 터짐 등)

  2. 타겟 유저의 해상도
    구글스토어 화면을 가상으로 만들기
    (어떤 검색어, 어떤 카테고리, 어떤 광고, 어떤 아이콘, 어떤 영상 등 유입경로 생각)

  3. 그리드 시스템 설정

  4. 홈화면에 위젯을 사용자가 운용하는 방식을 발표 때 보여주기 (위젯 편집 기능 추가하기)

이번주 조별 피드백 정리

  1. '오늘의 한마디', 구어체와 문어체 사이 슬라이드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2. 스마일 아이콘 수정

  3. 인공지능이 계속 화면에 플로팅으로 돌아다닐 것.

  4. 노란 배경에 흰색 글씨 전부 수정

  5. 디자인적으로 효율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고민할 것

1) 로그인 화면

LOGIN

2) 그리드 시스템 (각 기능별 그리드 통일)

grid

3) 홈화면 배리어블 위젯 형태

home variable widget

4) 다이어리 '오늘의 한마디' 슬라이드 바 디자인

diary - slide bar

5) 스마일 아이콘 디자인 수정

smile icon

6) 인공지능 '아장이' 플로팅 버튼 (포인트 컬러 사용)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1.30.32.png

8) 옐로우 버튼에 블랙 텍스트로 버튼 전체 수정 + 버튼 높이 수정 (아이폰 크기)

yellow button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12주차

아장아장
프로토타입 제작

2024.05.20.

12주차 구글 슬라이드 링크

1) 디자인 개선 사항

  1. 오늘의 한마디 이모티콘 제작 및 수정

  2. 오늘의 한마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단바 제작

  3. 노란색 배경에 흰 글씨 x ->수정

  4. 디자인 시스템 확립 후 전체 수정

2) 기존 기능 개선 사항

  1. 홈 화면 - 실제 화면같이 수정다자녀를 위한 프로필 표시 기능 추가

  2. Ai 아장이 제작

  3. 오오공부 - 퀴즈를 자동으로 내주는 것으로 수정

  4. 투두 - 인공지능이 사용자 패턴, 루틴을 파악하게 하기

  5. Ai 기능이 전반적 앱 사용에 사용되도록 수정

3) 디자인 시스템

3) 디자인 시스템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12.42.05.png

4) 홈 화면 수정

home

5) 다이어리 '오늘의 한마디' 인공지능 기능, 이모지 추가

diary

6) 다이어리 '오늘의 한마디' 멘트 추천 인공지능 기능 사용 플로우

diary + AI

7) 인공지능 챗봇 '아장이' 사용 플로우

chatbot

8) 오오공부 직접 퀴즈 만들기 기능 + AI 아장이

스크린샷 2024-06-11 오후 12.46.01.png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11주차

아장아장
사용성 테스트

2024.05.13.

11주차 구글 슬라이드 링크

1) 프로토타입 초기 단계 완성

완성한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하나의 홈 화면에 모든 기능을 연결하였고, 이후 총 6명의 피실험자에게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피실험자 정보

5/10 (금) 이진우 (29세, 남) - 반도체 연구원 / 미혼 / 육아 경험 X

5/11 (토) 이주나 (31세, 여) - 대학생 (숙명여대 재학) / 기혼 / 육아 경험 O (25개월 남아)

5/11 (토) 김요한 (36세, 남) - 회사 인사 담당 부서 직원 / 기혼 / 육아 경험 O (25개월 남아)

5/12 (일) 안선홍 (44세, 여) - 개인사업자 / 기혼 / 육아 경험 O (자녀 3, 고1, 중2, 초5)

5/12 (일) 백금자 (44세, 여) - 사무직 / 기혼 / 육아 경험 O (자녀 3, 중2, 초5, 초3)

5/12 (일) 이유진 (44세, 여) - 학원강사 / 기혼 / 육아 경험 O (자녀 2, 중2, 초5)

​각각의 사용자 테스트 보고서입니다. 기능별로 나누어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했었던 말을 정리하였고, 나아가 어떤 부분을 삭제하고 수정할 것인지 분석하고 판단하였습니다.

​또 각각의 사용자별로 가장 어렵게 느꼈던 기능과 가장 쉽게 느꼈던 기능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과감하게 삭제할 부분과 보다 더 발전시킬 부분을 나누어 정리하였습니다.

[이진우] EASY: 마이페이지 / HARD: 타임라인

[이주나] EASY: TODO / HARD: 타임라인

[김요한] EASY: 아장홈캠 / HARD: 타임라인

[안선홍] EASY: TODO / HARD: 타임라인

[백금자] EASY: 홈캠, 다이어리 / HARD: 타임라인

​[이유진] EASY: 다이어리 / HARD: 타임라인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9주차

아장아장
​초기 프로토타입 완성

2024.05.06.

10주차 figma 링크

1) 롤플레잉을 통한 프로토타입 발전

롤플레잉을 통해 기존의 프로토타입에서 추가해야 할 기능과 수정해야 할 부분을 정리하고, 색상과 디자인을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기능에서 미리 설정해 둔 플로우에 맞추어 각각의 화면을 연결하여 기초적인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였습니다.

​각각 하나씩의 기능을 맡아 플로우에 맞게 완성한 프로토타입입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8주차

아장아장
​프로토타입 제작

2024.04.29.

9주차 figma 링크

1) 타팀 피드백 아이디어 선정

지난주 중간발표 이후 전달 받은 타팀 피드백 아이디어를 토대로, 투표를 통해 실제로 도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선정했습니다.

팀원별로 제작할 아이디어를 먼저 선정하고, 각자 맡은 바에 따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습니다.

저는 첫 화면부터 육아성향테스트를 통해 프로필 완성까지 가는 과정을 완성하였습니다.

​육아성향 뿐만 아니라, 육아를 돕고 있는 제 3자와의 연동, 벌이 유형 등 공동육아에 필수적인 정보들을 기입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7주차

아장아장
​중간발표 준비

2024.04.22.

중간발표 ppt google slide 링크

1) 태스크 플로우

사용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각 단계를 표시하여 태스크플로우를 완성했습니다.

상황은 출산 전 / 후로 나누어 다음 2가지로 진행했습니다.

상황 1: 아기의 하루 일과 진행하는 평소 사항과 달리 수정해야 하는 일정을 등록하기

​상황 2: 첫 사용시 프로필 입력과 일정 등록하기

2) 화면 스케치

출산 전후 총 4가지의 상황을 먼저 정하고, 10분 간 각자 스케치를 진행한 후에 토론을 통해 이야기를

나누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각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산 전 상황 1

: 지현은 집에서 오오공부를 마치고, 성민은 오늘 출근길에 지하철에서 오오공부를 마쳤다. 두 사람 각자 다른 장소에서 오늘의 오오공부를 마치고 퀴즈를 푸는 상황.

출산 전 상황 2

: 지현과 성민은 함께 아장아장 어플을 다운로드하고, 육아성향테스트를 시작한다.

출산 후 상황 1

: 회사에 있는 대호는 알림이 와서 해당 알림을 클릭하였다. “방금 하준이가 도리도리를 했어요! 영상을 확인해보세요.” 민주가 보낸 하준이의 도리도리 영상을 바로 볼 수 있었다. 대호는 영상을 보고 댓글도 달았다.

출산 후 상황 2

: 지금은 오후 7시, 오늘 대호와 민주는 함께 오후 8시에 하준이의 목욕을 하기로 했다. 그런데 대호가 갑자기 일이 생겨 목욕을 10시로 미룰 것을 요청했다. 

3) 프로토타입

​스케치를 기반으로, 주요 기능이 포함된 화면을 디지털로 작업해 보았습니다.

4) 중간 발표 ppt 제작

마지막으로, 3주차부터 8주차까지 <아장아장> 서비스 기획의 모든 단계를 정리한 중간 발표 ppt를 제작하였습니다. 각 팀원들은 자신의 분량을 디자인하였고, 다 같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며 전체적인 레이아웃과 내용을 맞추었습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6주차

아장아장
아이디어 수정 및 점검
& 퍼소나
& 스토리보드
& 사용자 여정
& 시나리오

2024.04.15.

이번주 과제 figma 링크

1) 디자인 챌린지 수정 및 아이디어 도출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31.05.png

지난주에 도출했던 디자인 챌린지를 수정하고, 토대로 HMW를 재구성했습니다.

​이후 아이디어를 각자 다시 한 번 도출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2) Gut check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36.00.png

투표로 뽑힌 아이디어를 토대로 gut check를 통해 아이디어를 점검하였습니다.

3) 퍼소나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39.34.png

맞벌이 부부, 외벌이 부부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퍼소나를 만들었습니다.

​총 4명의 성격과 상황을 각기 달리하여 각 인물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습니다.

4) 스토리보드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43.37.png

아이디어를 토대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과정 스케치를 진행했습니다.

아이디어에 대해 무엇을 발견할지, 어떻게 처음으로 경험할 것인지, 어떻게 경험이 끝날지

​대화하고 토론하며 실제 경험에 가까울 수 있도록 했습니다.

5) 사용자 여정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47.01.png

만든 퍼소나와 스토리보드를 토대로, 4명 각각의 사용자 여정을 제작했습니다.

일상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출근, 건강검진, 산후우울감 등의 요소를 넣어 현실 감각을 더했습니다.

6) 시나리오

스크린샷 2024-04-15 오후 8.51.27.png

퍼소나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앱을 사용하는지 시나리오를 통해 기술하였습니다.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총 4개로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화면 스케치를 통해 각 기능을 시각화했습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5주차

아장아장
HMW? & Idea

2024.04.08.

이번주 과제 figma 링크

1)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figma 정리, 투표 진행

1차 투표.png

오프라인으로 진행하였던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figma에 옮기고,

1차 투표를 진행하여 유의미한 포스트잇을 선별하였습니다.

2) HMW? & Design Challenge

hmw 1.png
hmw 3.png
hmw 2.png
hmw 4.png
hmw 5.png

​총 5개의 섹션 아래 HMW, 디자인 챌린지, 인사이트를 구성했습니다.

(1)

HMW: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공동 육아를 할 수 있을까?

D.C: 부모가 출산 전부터 양육까지 지속적으로 건강한 공동 육아를 할 수 있는 어플이 필요하다.

(2)

HMW: 어떻게 하면 산후 우울감을 줄일 수 있을까?

D.C: 엄마가 출산 이후 객체가 아닌 주체가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생각해보자.

(3)

HMW: 커뮤니티에는 신뢰할 수 없는 정보가 많은데 어디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D.C: 현재 커뮤니티의 익명성에서 초래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원활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이 필요하다.

(4)

HMW: 출산 전 간단하게 육아 공부를 할 방법이 없을까?

D.C: 출산 전, 육아 공부를 통해 출산 이후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황에 조금 더 똑똑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5)

HMW: 다른 부모들과 소통하면서 정보도 얻고 아이 친구도 만들어주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

D.C: 저출생 시대라서 어린 아이가 많이 없는데, 다른 가정과의 공동 육아를 촉진하기 위해 타 가정과 원활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모든 작업이 끝난 후, 투표를 진행하였습니다.

hmw 투표.png

3) Gut Check

gut check.png

투표로 선정된 아이디어를 Gut check를 통해 점검하였습니다.

간단한 아이디어 스케치와 함께, 아이디어를 시각화 해보았습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4주차

아장아장
UX 리서치 2차

2024.03.29.

이번주 과제 구글 슬라이드 링크

1) 이번주 과제 슬라이드 정리

2) 인터뷰 진행

3월 27일, 28일에 걸쳐 대면, 비대면, 방문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를 전반적으로 진행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어나갔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은 대화의 흐름을 끊지 않는 선에서 질문하여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3)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진행

KakaoTalk_Photo_2024-04-09-23-11-55 006.jpeg

인터뷰를 모두 마친 후에,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1. yellow

 

먼저, 지난주 서베이와 이번주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다양한 정보들을 총 7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엄마케어 / 어플 / 공동육아 / 육아 정보 / 커뮤니티 / 금전 / 육아 자체의 상황 

KakaoTalk_Photo_2024-04-09-23-13-28.jpeg

2. green

 

"왜?" 라는 코멘트와 함께 문제의 원인을 찾아보았습니다.

KakaoTalk_Photo_2024-04-09-23-13-56.jpeg

3. blue & pink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적어보고, (blue)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도출해보았습니다. (pink)

결과.png

4. 결론 도출

 

출산 전/후로 나누어 각 상황에 맞는 기능의 아이디어를 도출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불편했다고 했던 점에서 착안하여 각각의 아이디어를 접목해 보았습니다.

4. 결론 도출

 

출산 전/후로 나누어 각 상황에 맞는 기능의 아이디어를 도출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불편했다고 했던 점에서 착안하여 각각의 아이디어를 접목해 보았습니다.

  현재 아이를 위한 다양한 육아 어플들은 너무나도 많이 볼 수 있으나, 엄마와 아빠를 위한 서비스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우리는 실제 인터뷰에서 많은 사용자가 답변했던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다" 라는 말을 모토로 서비스의 기준을 정했습니다.

산모의 출산 전후 건강을 도모하고, 한 명만 하는 것이 아닌 부부 모두가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긍정적 부부 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여 부모와 함께 자라나는 아이에게도 도움이 되게끔 더 똑똑한 육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자 합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3주차

아장아장
UX 리서치 1차

2024.03.22.

이번주 과제 구글 슬라이드 링크

1) 서베이 결과 정리 진행

3월 22일부터 3월 25일까지 총 3일 간 진행한 온라인 서베이 결과를 구조화하여 정리했습니다.

2) 데스크 리서치 - 육아 어플리케이션 분석 진행 (자라나다)

각자 맡은 데스크 리서치 중, 서베이 주관식 답변에서 새로 알게 된 육아 놀이 어플 <자라나다> 를 분석했습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아장아장> 서비스의 방향과는 좀 달랐으나, 신생아의 감각을 자극시키고 건강한 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놀이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신선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3주차

우리 아이의 육아를 
더 똑똑하게,
​아장아장.

2024.03.18.

다양한 UX 리서치 방법들

2024.03.18

UX 리서치란, 단순히 검색을 통해 정보를 찾는 행위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검색 결과를 가지고 정보를 정리하여,​ 분석 후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즉, 사용자가 제품 및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과정 그 자체를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조사.jpg

1. 서베이 / 설문조사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주제에 관한 의견을 묻는 방법.

CK_cm08505780_edited.jpg

4. A/B 테스트

두 가지 콘텐츠를 비교하여 방문자/뷰어가

더 높은 관심을 보이는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

CK_yaytg166495_edited.jpg

7. 클릭스트림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상에서

마우스를 클릭하여 이루어지는 행동에

​대한 기록을 조사하는 방법.

1_인터뷰_edited.jpg

2. 사용자 인터뷰

사용자를 대면 혹은 비대면으로 만나

경험이나 감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묻는 방법.

1:1 또는 그룹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다.

CK_cm08192865_edited.jpg

5. Voc 분석

고객센터 문의, 리뷰, 챗봇, SNS 등에서

고객의 소리(VoC), 즉 피드백을 수집하는 방법.

CK_yaytg324345_edited.jpg

8. 아이트래킹

모니터 앞에 앉은 사용자에게

​아이트래커를 착용하게 하고, 사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해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어디를 얼마나 오랫동안 보는지 기록하는 방법.

CK_cm14001657_edited.jpg

3. 사용성 테스트

사용자에게 특정 상황이나

수행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여

그 과정을 관찰하는 방법.

CK_cm08282326.jpg

6. 필드 스터디

한 사람이 일상적인 환경에서

행동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방법.

실험 대상자는 일상적으로 하는 행동을 하고,

​리서처는 그 모든 과정을 관찰한다.

CK_cm08266033_edited.jpg

9. 가상 고객 설정 (페르소나)

가상의 표본 사용자를 정하고

인물에 대한 가상 표본을 만들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

닐슨 노먼 그룹의
​3차원 프레임 워크

2024.03.18

닐슨 노먼 그룹이 만든 3차원 프레임 워크는, 여러 사용자 리서치 방법을 다음과 같이 나눈 차트이다.

1. 사용자의 행동과 태도 (Behavioral vs Attitudinal)

2. 접근 방식: 정성 vs 정량 (Qualitative vs Quantitative)

3. 사용 맥락 (Context of Use)

​행동과 태도, 정성과 정량을 각각 x축과 y축에 두고 그 정도에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리서치 방법을 배치한다. 나머지 기준인 사용 맥락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맥락에 따른 리서치 방법이기 때문에, 그래프 밖에 따로 표시한다.

1. 행동 vs 태도 (Behavioral vs Attitudinal)

사람들이 하는 것과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나눠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사람들이 하는 것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사용성 테스트가 있고, 말하는 것에 해당하는 조사 방법은 그룹 인터뷰가 대표적이다.

2. 정성 vs 정량 (Qualitative vs Quantitative)

정성적 리서치는 대상 그룹을 직접 관찰하여 행동이나 태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고, 정량적 리서치는 이메일 서베이 등 정보를 간접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뜻한다.

3. 사용 맥락 (Context of Use)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형에 따른 분류 방법이다.

1)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사용하는가?

2) 사용자가 UI/UX 기획자가 의도한 스크립트대로 사용하는가?

3) 제품 없이 조사가 진행되는가?

Untitled-2.png

3차원 프레임 워크에 해당 리서치 방법을 배치한 결과는 위와 같다.

현재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는, 사람들에 태도에 집중하여 그 접근 방식에 상관 없이 사용자 인터뷰, VoC 분석, 서베이 정도가​ 적절할 것 같다고 판단하였다.

설문조사
& 사용자 인터뷰,
그리고 AI를 활용한
​가상 고객 설정

2024.03.18

  아장아장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1:1 맞춤형 신생아 돌봄 도우미 서비스로, AI 스피커, 보이스, 카메라 각각의 기능을 제공한다. 아장아장은 사용자의 육아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편함을 최대한 줄이기 위함으로, 사용자와의 보다 더 심층적인 인터뷰가 필요하다. 실제로 육아에서 겪는 또 다른 불편함은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해결하는지, 또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까지의 어떤 불편함이 있는지 사용자의 실제 이야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문조사와 심층적인 인터뷰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리서치에 활용해도 괜찮을까?

  만약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이야기를 수집했다면, 그 다음은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가상의 고객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의 모든 경험을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 때, 가상의 고객과 그 환경을 떠올릴 때에, 인공지능 서비스 ChatGPT를 활용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 (*2023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발췌 논문) 에 따르면, 이미 수많은 UX 디자이너들이 현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리서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때 "가상 시장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비즈니스의 목적을 보다 더 이해하기 쉽다"고 답변한 사례가 있다.

​어떻게 이용하면 좋을까?

  그렇다면 인공지능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해당 논문에 따르면, 일종의 스토리텔링인 페르소나 구축을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 할 수 있다고 전해진 바가 있다. 사용자의 프로필과 가상의 니즈를 설정하면, 그 정보에 기반하여 무궁무진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승전결이 있는 구조적인 스토리텔링을 양적으로 보조해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ChatGPT는 대규모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반화된 패턴을 추출하기 때문에, 매우 구체화된 응답을 제공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이럴 때에는 입력하는 가상 고객의 정보 자체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겠다.

  아직까지 UX 디자인 자체는 인간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리서치 영역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아이데이션 도구로서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ChatGPT를 활용한다면,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정재민, 인공지능 기반 UX 디자인 리서치: ChatGPT를 활용한 디자인 업무 효율성 향상 연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 석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년

bottom of page